투고요령 및 작성안내

※ 불어문화권연구소 학술지『불어문화권연구』는 2025년 현재 발간계획이 없습니다.

<불어문화권연구> 논문 투고요령 및 작성양식
1. 논문 투고요령

1)

본지의 게재대상은 프랑스 및 프랑스어문화권 전역에 대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제반 논문으로 다른 곳에 게재되었거나 게재될 계획이 없는 논문이어야 하며,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의 연구윤리규정(연구소 누리집 참조)을 준수하여야 한다.

2)

동일 필자가 한 호에 한 편의 논문을 초과하여 게재할 수 없다.

3)

원고분량은 한국어 원고는 A4 15쪽 (200자 원고지 120매) 내외로 하고, 외국어 논문은 7,000 단어 내외로 한다. 원고파일 형식은 ‘한글’(.hwp)을 원칙으로 하되, 외국어 원고의 경우 ‘MS Word’(.docx)도 가능하다. 자세한 원고의 서식은 <불어문화권연구_투고논문 서식파일.hwp> 파일을 참조한다.

4)

투고는 ‘한글’이나 ‘MS Word’로 원고를 작성하여 필자가 책임 교정한 후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 http://ifs.jams.or.kr 을 사용해 투고한다.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 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불어문화권연구_논문투고서.hwp> 파일을 작성하여 논문 원고에 첨부, 이메일((francophonie@snu.ac.kr)로 투고할 수 있다.

5)

논문의 채택여부, 게재순서 및 체제에 관한 사항은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6)

본지에 수록된 논문의 저작권은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에 있다. 논문 필자는 투고행위로 이를 인정한 것으로 보며, 제출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 본 연구소는 본지 수록논문을 연구소 안팎의 전자데이터베이스에 실어 공개할 수 있다.

7)

투고요령에 따라 작성되지 않은 논문은 지적사항이 시정되어 재투고가 이루어질 때까지 심사과정을 진행시키지 않는다.

2. 논문 작성양식
1) 투고 원고는 논문제목, 필자 이름과 소속, 본문, 참고문헌, 초록, 주제어 순서로 한다.

단독연구 논문의 경우 저자명 옆에 저자의 소속을 밝힌다. 예) 홍길동(○○대학교)

공동연구 논문의 경우 제1저자(연구책임자)를 명시한 후, 가나다순 또는 알파벳순으로 기명한다. 또 상세한 참여구분과 소속은 논문 첫 쪽에서 저자명에 대한 각주로서 처리하되, 각주를 위첨자 모양의 별표(*)로 표시한다.

예)
김정아, 이정우*
(각주란) * 연구책임자: 김정아(○○대학교) 공동연구원: 이정우(○○대학교)

연구비 출처, 논문발표 사실, 감사의 말 등을 명기할 경우, 논문 첫 쪽에서 논문제목에 대한 각주로서 처리하되, 각주모양은 윗첨자 모양의 별표(*)로 표시한다.

2)

본문에서 한글과 프랑스어를 병기할 경우, 둘 사이에 고정폭 빈칸(Alt+Space Bar)을 넣는다. 본문의 고유명사는 처음으로 등장할 때만 한글과 원어를 병기하며, 이후에는 한글로만 표기한다. 외국어 작품 중 단행본의 경우에는 원제목을 기울임체로 적는다.

예)
스탕달 Stendhal, 이후 스탕달
『적과 흑 Le Rouge et le Noir』, 이후 『적과 흑』
「연애론De l’amour」, 이후「연애론」
3) 각주 작성 요령
주는 각주를 원칙으로 한다. 일반적인 각주 작성 방법을 인정하되, 다음의 예를 권장한다.
예) 오노레 드 발자크, 「고리오 영감」, 이동렬 옮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pp.○~○쪽.
Honoré de Balzac, Le Pére Goriot, Paris, Edmond Werdet, 1835, pp.○~○.
작품에 자주 인용되는 원천 텍스트의 경우에는 처음 인용시에만 출처를 각주에 명시하고 다음부터는 약식인용을 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작성 요령
참고문헌은 해당 논문에 인용되거나 집필에 직접 관련된 것에 한정하며, 1차 문헌, 주제별 문헌 등 문헌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는다.
– 외국서, 국내서 순서로 작성한다.
– 외국서는 저자명의 알파벳순, 국내서는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배치한다.
– 외국서일 경우, 각주와 달리, 저자명을 ‘성, 이름’순으로 작성한다.
– 외국서일 경우 단행본 및 잡지 제목은 기울임체, 논문은 << >>로 표시한다.
– 국내서일 경우 단행본 및 학술지 제목은『 』 , 논문은 「 」, 시청각 자료 등은 < >로 표시한다.

5)

초록은 본문이 한국어인 논문은 프랑스어 150단어 내외, 본문이 프랑스어인 논문은 한국어 200자 원고지 5매 내외의 분량으로 작성한다.

6) 주제어는 3개에서 6개정도 선별하여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병기한다.
예)
주제어: 오노레 드 발자크, 『인생의 첫출발』, 속담, 언어유희
Mots-clés: Honoré de Balzac, Un début dans la vie, proverbe, jeux de mots
7) 그 밖의 사항은 일반적인 논문작성 관례를 따른다.
『불어문화권연구』의 논문투고 및 편집 관련 제반 문의나 제언은 본지 이메일 francophonie@snu.ac.kr 또는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전화 880-6115)로 하시기 바랍니다.